-
반응형
23.05.03 김현우의 손경제 상담소 질문 요약 :
현재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고정 금리로 2.7%인데,
내년 7월에 변동금리로 변경될 예정이다.
수입이 늘어나면, 대출 추가상환을 하는 게 좋을까
금리가 더 높은 적금에 드는 게 좋을까?
답변 요약 :
대출 금리가 현재는 예적금 금리보다 낮기 때문에
지금은 내년 7월 이전에 만기가 되는 예적금으로 저축을 하다가,
내년 7월 이후에도 상환보다는
여유 자금으로 운용하는 것을 추천하지만,
대출 금리를 확인 후 대출 상환을 할 수도 있다.
mbc 라디오 김현우의 손경제 상담소에
직접 궁금한 내용을 올리고,
"방송내용&다시듣기"에서 지난 방송도 다시 들어 보세요.
아래를 누르시면 '손에 잡히는 경제/플러스/상담소
다시듣기(팟캐스트)' 로 이동합니다.
반응형23.05.03 김현우의 손경제 상담소 방송사연 :
결혼한 지 10년차 되는 부부인데요.
아이가 태어나고 나서는 외벌이로 지내다
이제 다시 맞벌이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현재 아파트 대출금이 1억 4,000 정도 남아 있고,
한 달에 원리금 100만 원가량씩 꾸준히 갚아 나가고 있습니다.
그동안은 생활비가 빠듯해서
추가 상환은 생각을 못 했었는데요.
이제 제가 일을 시작하면
추가 상환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대출금리는 현재 2.7% 정도인데요.
신랑은 대출금리가 낮더라도
빚을 빨리 갚는 게 이득이라고 하지만,
저는 최근 예적금 금리가 높아서
따로 모아두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현재도 2,000만 원 가량의 여유자금은
5% 정도의 예금으로 넣어놓은 상태이고요.
주택담보대출은 2019년 7월에 5년 고정으로 받아서
내년이면 변동금리로 바뀌는데,
내년에 얼마나 오르게 될지도 걱정입니다.
이제 제 월급이 들어오게 되면
추가로 대출을 상환하는 게 나을지,
아니면 저축 상품을 들거나
개인연금 등을 가입하는 게 나을지 고민입니다.
제가 올해 만 34세라
청년 도약 계좌도 가입하고 싶었거든요.
만약 대출 상환을 하게 된다면
매달 매달 꾸준히 갚는 것과
1년 동안 적금을 들었다가 목돈으로 한 번에 갚는 게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좀 더 넓은 집으로 이사를 하고 싶은데
저축 계획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도 알려주세요.
김현우 (재무설계사) :
빚을 갚는 것과 저축을 하는 것 중에
무엇부터 해야 되는지 고민이시라는 사연을
종종 소개해 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일반적인 예적금 금리는 대출 금리보다 낮기 때문에
웬만해선 빚을 갚는 게 유리하다고 말씀드렸었습니다.
다만 청년 희망적금처럼 이율이 특별하게 높은 적금이라면
이걸 먼저 가입하는 게 좋다고도 했었고요.
그런데 사연자님의 경우엔 좀 다릅니다.
먼저 대출 금리가 현저하게 낮다는 건데요.
연 2.7%라고 하셨는데
아직까지는 이보다 금리가 높은 예금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출금리보다 예금 금리가 높다면
빚 갚는 것보단 예금을 가입하는 게 낫겠죠.
그런 의미에서 지금처럼 2,000만 원의 여유 자금을
5%짜리 예금에 넣어두신 건
아주 잘하신 거라고 할 수 있겠고요.
다만 걱정하신 것처럼 내년 7월이 돼서 변동금리로 전환되면
그땐 지금보다 대출금리가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만약 그때 가서 보니 예금보다 대출의 금리가 높다면
예금을 하는 건 손해일 수도 있으니까,
지금부터 가입하실 예금은
최소한 만기가 내년 7월이 넘지 않도록 하시는 게 좋겠죠.
자 그럼 내년 7월에 가서 보니 대출 금리가 더 높으면그땐 저축보다 대출을 갚는 게 유리한 거냐?
이자만으로 따졌을 때는 그렇겠지만
다른 부분을 감안한다면,
별로 추천해 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주택담보 대출은 액수가 큰 장기 대출입니다.
오랜 기간에 걸쳐서 나눠 내다 보니
이런 대출은 일부를 상환하더라도
당장의 큰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1억 4000만 원의 대출을
3%의 금리로 30년 동안 상환한다고 가정하면,
매달 내는 원리금은 59 만 원 정도인데요.
여유자금 1,000만 원 정도가 생겨서
이걸로 빚을 갚으면
한 달 원리금은 55만 원 정도로
약 4만 원가량이 줄어듭니다.
1,000만 원이란 목돈을 넣은 것치고
체감될 만큼 부담이 줄어들진 않죠.
또 이러다가 만약 목돈이 필요하면 대출을 받게 될 텐데
담보 대출보다는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을 이용하게 될 겁니다.
금리가 낮은 빚 갚고 높은 빚 쓰게 되는 모양새죠.
그럼에도 갚으시겠다면 매달 조금씩 갚는 것보단
그래도 6개월에서 1년 정도 목돈을 모으셨다가
상황을 봐 가면서 갚으시는 걸 권하고 싶습니다.
장기적으로 더 넓은 집으로 이사를 가려고 하신다면그때도 대출을 받게 되실 텐데요.
이땐 원리금 상환이 얼마까지 가능한지를 놓고
판단하시는 게 우선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 살고 있는 집을 처분했을 때 3억 원이 생긴다면
7억 원 정도는 대출을 받아서 10억 원짜리 집을 살 수 있겠죠.
그런데 이렇게 되면
한 달 원리금 상환액은 300만 원 가까이 됩니다.
자녀가 자라면서 늘어날 생활비 지출을 고려해 보시고
장기적으로 부담이 없는 수준이 얼마인지를 먼저 살펴보시고요.
이걸 기준으로 가능한 대출액을 판단해서
주택 가격을 정하고 차차 늘려가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라디오 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ETF 비과세 한도와 ISA 계좌 수수료는? (0) 2023.05.17 남의 땅을 빌려서 농사를 짓는 방법 - 농지은행 (0) 2023.05.16 내 회사에 가족을 고용하면 고용보험 가입불가? (0) 2023.05.15 IRP 계좌로 퇴직금을 받을 경우 불리한 점 (0) 2023.05.14 증권사 파산시 내 연금저축펀드와 퇴직연금은 어떻게 될까? (0) 2023.05.03